국어/박스체
-
#56 음운인식글꼴:모서리교실_박스체(함께읽기)국어/박스체 2020. 5. 18. 12:01
*함께읽기 1) 함께 읽을 책을 정한다. 2) 학생이 읽을 부분을 정한다. (수준에 따라 받침없는 단어, 받침있는 단어, 짧은 문장, 긴 문장 다르게) 3) 학생이 읽을 부분을 박스체로 작성하여 인쇄한다. 4) 학생이 읽을 부분을 박스체로 겹쳐 붙인다. 5)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이 번갈아 가면서 함께 글을 읽는다. 6) 글에 점차 익숙해지면 학생이 읽을 부분을 점차 늘린다. 7 ) 혼자 스스로 전체 글을 읽는다. 1) 받침없는 단어로 구성된 문장 2) 받침있는 단어로 구성된 문장 3) 혼자 읽기 #55 음운인식글꼴:모서리교실_박스체 모서리교실_박스체(2020,1th) 박스체는 한글을 읽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위해 개발된 음운인식글꼴입니다. 모아쓰기는 한글의 가진 독특한 특성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
-
#55 음운인식글꼴:모서리교실_박스체국어/박스체 2020. 5. 15. 00:51
모서리교실_박스체(2020,1th) 박스체는 한글을 읽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위해 개발된 음운인식글꼴입니다. 모아쓰기는 한글의 가진 독특한 특성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음절과 한 글자가 일치하여 가독성이 일치하여 가독성이 높고,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글자의 밀도가 높아서 언어능력이 부족한 난독증,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경우 각각의 소리를 읽고 쓰기에 어렵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스체에서는 세가지 형태의 시각적 단서를 제공합니다. '풀어쓰기'처럼 음소를 나눠 인식 초성-모음-종성에 대응하는 음소를 알 수 있음 음소를 읽는 순서 쉽게 파악 위의 초성-모음-종성을 구별하는 시각적 단서를 통해 모아쓰기 형태를 유지하면서 박스를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