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78 독후활동:공식+도서=도깨비를빨아버린우리엄마
    주제통합/공식+도서 2025. 8. 2. 11:05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 알라딘

    활달한 상상력과 그에 맞게 큼직하게 그려나간 그림이 조화를 이루는 그림책. 빨래를 좋아하는 엄마가 도깨비를 빨아버리는 장면에서는 같이 크게 웃어주고 싶은 기분이 나는 씩씩한 그림책이

    www.aladin.co.kr

     

     

     

     

     

     

    맞아요 👍 이 책은 일본 작가 사토 와키코(さとう わきこ) 가 글과 그림을 그린 그림책
    **「도깨비를 빨아버린 우리 엄마」(원제: おにをやっつけたおかあさん,

    직역하면 ‘도깨비를 물리친 우리 엄마’에 가까움)**이에요.

    한국에는 한림출판사에서 번역 출간되었고, 번역가는 이영준이에요.

     

    이 책은 일본에서도 오랫동안 사랑받은 유머러스한 그림책 시리즈의 하나로,

    ‘빨래하기 좋아하는 엄마’ 캐릭터가 등장하는 게 특징이에요.

     

     

     

    맞아요! 정확히 짚으셨어요 👏

    원래 일본 원제는 「おにをやっつけたおかあさん」 인데, 여기서 おに(오니)

    일본 전통 설화에 나오는 요괴, 즉 '도깨비' 같은 존재를 가리켜요.

    한국어 번역 과정에서 아이들이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오니 → 도깨비로 로컬라이징(현지화) 한 거예요.


    비슷한 사례로는, 서양 그림책에서 goblin 이나 troll 같은 존재를 번역할 때

    한국에서는 ‘도깨비’라고 옮기는 경우가 흔하죠.

     

    📌 정리하자면

    • 원제: おにをやっつけたおかあさん (오니를 물리친 엄마)
    • 직역: "오니를 혼내준 엄마"
    • 한국판 제목: 도깨비를 빨아버린 우리 엄마
    • 번역 의도: 일본 아이들에게 친숙한 오니를, 한국 아이들에게 친숙한 도깨비로 바꿔서 문화적 거리감을 줄임

     

     

     

    맞습니다! 오니(鬼)와 도깨비는 한국과 일본 문화에서 비슷한 "뿔 달린 괴물"로 자주 그려지지만,

    성격·외모·문화적 의미에서 차이가 있어요. 정리해 드릴게요:


    👹 오니(鬼, 일본)

    • 외모
      • 커다란 몸집, 날카로운 송곳니, 뿔 1~2개
      • 호랑이 가죽 무늬의 호피 팬츠(전통적으로 많이 등장)
      • 몽둥이나 철봉(鉄棒)을 들고 있는 경우가 흔함
    • 성격/역할
      • 무섭고 잔인한 존재로 그려짐 → 벌을 주거나 잡아가는 역할
      • 일본 설화에서 악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음
      • 다만, 요즘은 만화·애니에서 바보스럽거나 우스꽝스럽게 재해석되기도 함
    • 문화적 맥락
      • "세쓰분(節分)" 행사에서 콩을 던지며 "오니는 밖으로!" 외치며 내쫓음
      • 무섭지만 아이들이 친숙하게 느끼는 ‘두려움의 대상’

    👹 도깨비(한국)

    • 외모
      • 뿔이 달린 경우도 있지만, 꼭 뿔이 있어야 하는 건 아님
      • 옷차림은 한복 또는 아무 옷도 입지 않은 모습으로 다양
      • ‘도깨비 방망이’를 들고 있음 → 흔들면 금은보화나 음식이 나옴
    • 성격/역할
      • 무섭다기보다는 장난꾸러기, 엉뚱함
      • 인간에게 장난을 치기도 하지만, 착한 사람을 돕거나 벌주는 도덕적 기준을 가짐
      • "재미있는 요괴"에 가까움
    • 문화적 맥락
      • 아이들에게 친근한 설화 속 주인공
      • 두려움보다는 웃음과 교훈을 주는 존재
      • 최근에는 드라마(예: 도깨비)처럼 매력적이고 신비로운 존재로도 재해석됨

    ✨ 비교 요약

    구분 오니 (일본) / 도깨비 (한국)
    외모 뿔 + 호랑이무늬 팬츠, 철봉 뿔 있거나 없음, 방망이
    성격 무섭고 잔혹, 악을 상징 장난꾸러기, 엉뚱하지만 정의감도 있음
    문화적 이미지 두려움의 대상, 내쫓는 존재 익살스러운 민담 속 주인공
    상징성 벌, 공포 교훈, 웃음, 도덕적 질서

     

     

     

    맞아요 😊 정확히 보셨어요. 일본의 오니(鬼)는 전통적으로 **‘무섭고 악한 괴물’**로 많이 묘사되는

    반면, 한국의 도깨비는 **‘장난꾸러기이자, 때론 의로운 요괴’**에 더 가까운 느낌이에요.

    특히 《눈물을 마시는 새》처럼 한국의 설화적 존재들을 차용한 판타지 소설에서는,

    도깨비가 단순한 괴물이 아니라 고유한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만약 도깨비가 우리 집에 온다면, 나는 어떤 행동을 할까?
      → 두려움과 호기심을 함께 떠올리며 상상하기.
    2. 도깨비가 사람들에게 장난을 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단순히 나쁘기 때문일까, 아니면 다른 마음이 숨어 있을까?
    3. 도깨비처럼 특별한 힘이 나에게 생긴다면, 나는 그 힘을 어떻게 사용할까?
      → 자기 성찰과 책임감을 떠올릴 수 있는 질문.
    4. 내가 도깨비 얼굴을 그린다면, 어떤 표정을 그려보고 싶어?
      → 감정 표현과 창의적인 상상을 자극하는 활동.
    5. 여러 명의 도깨비가 온다면, 엄마의 빨래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 도깨비의 이미지가 꼭 무섭거나 장난꾸러기만이 아니라, 협력과 도움을 주는 존재로도 상상할 수 있게 하는 질문.

     

     

     

     

     

     

     

     

     

    #빨래

    귀찮

     

     

     

     

     


    독서감상문(도깨비를빨아버린우리엄마).pdf
    1.44MB
    빨래 도깨비 도안.pdf
    0.24MB

    재배포 및 상업적 이용 금지

     

    댓글

Designed by Tistory.